WINDOW

삼성바이오로직스 기업분석 5편: 세포주개발 (CLD) 플랫폼 본문

BIOPLAYLIST/헬스케어기업분석

삼성바이오로직스 기업분석 5편: 세포주개발 (CLD) 플랫폼

빅가이 2023. 4. 1. 01:23

삼성바이오로직스 기업분석 개요 요약

  • (사업분야) 삼성 바이오로직스 사업은 CDMO (Contract Development Manufacturing Organization, 위탁개발생산) 부문과 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상용화부문으로 나뉘며, ① CDMO부문은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및 세포주 공정 개발 서비스를 제공, ②바이오의약품 부문은 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상업화를 목적으로 합니다. 
  • 또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항체의약품 CMO 중심 서비스에서 CDO (Contract Development Organization, 위탁개발) 서비스, mRNA  및 세포/유전자치료제 생산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나가고 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5편: 세포주개발 (CLD) 플랫폼

01.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세포주개발 개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최적화된 세포주 (S-CHOICE)를 빠른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버클리라이트 사의 비컨 장비를 활용하여 높은 생산성의 고품질 세포주를 개발하며, 최적화된 생산 과정 (protocol)을 활용하여 CDO (위탁개발), CMO(위탁생산), CDMO (위탁생산개발) 등의 위탁서비스를 주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그림 1 삼성바이오로직스 CLD process (출처: 삼성바이오로직스 [1])

 

02. 세포주 개발 플랫폼:  BEACON

1. BEACON (Berkely lights) 이란?

✅ BEACON Optofluidic system은 Optofluidics라 불리는 광학과 나노유체학을 활용하여 개발된 시스템입니다. Optoselet이라 명명된 특수한 칩수천 개의 나노펜(Nanopen) 챔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생명공학실험에서 활용하는 마이크로 플레이트 (Microplate)의 웰(well)과 유사한 역할을 합니다. 

나노펜에서 세포가 단일세포 수준으로 분리되어, 펜 내에서 세포가 성장하고 다양한 분석을 할 수 있으며, Optoselect 칩 내의 나노펜에서 광학 (bright field) 및 형광 (fluoresence) 이미징이 가능합니다. 

 그림 2 The Beacon system (출처:BEACON 시스템 버클리라이츠 공식 홈페이지[2])

2. BEACON  WORKFLOW

✅BEACON 시스템은 크게 Import, Culture, Assay, Export 등 4가지의 workflow를 사용하여 수천 개의 세포를 자동으로 스크리닝할 수 있습니다.

그림 3 Beacon workflow (출처:BEACON 시스템 버클리라이츠 공식 홈페이지[2])

 

① Import

: 자동으로 단일세포를 식별하여 나노펜 챔버 내로 넣어주는 과정입니다.  전체 세포를 로드(load)하는 데 30분정도 소요된다고 예상됩니다. 

 

② Culutre

: 세포 증식을 위해 배지(세포가 자라기 위해 필요힌 영양물질이 포함된 세포배양액)가 주입되어 나노펜으로 확산되고, 폐기물은 배출됩니다. 동시에 장비 내 소프트웨어는 칩을 지속적으로 이미징하여 세포 수를 세고, 성장률을 계산합니다.

 

③ Assay

: 세포를 수개월간 배양하지 않아도 나노펜 챔버에서 바로 개별 세포에 대한 테스트를 반복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④ Export

:광학 패턴을 활용하여 원하는 세포를 선택적으로 웰 플레이트로 내보낼 수 있습니다.

3. BEACON  high throughput chips

✅실험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나노펜 챔버 모양을 가진 다양한 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Beacon 장비는 최대 4개의 칩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으며, culture station 기기를 활용하여 칩에서 세포를 장비 밖에서도 배양할 수 있습니다. 

그림 4 다양한 종류의 나노펜 챔버 칩 (출처:BEACON 시스템 버클리라이츠 공식 홈페이지[2])

03. BEACON PLATFORM 활용

1. Antibody Discovery 항체 발굴

Antivody discovery는 항체를 발견하고 개발하기 위한 과정으로 일반적으로 면역학적인 기술을 활용하여 특정 항원을 인식하고 결합하는 항체를 찾아 해당 항체를 선별 및 생산하는 과정입니다. 

✅ Beacon 플랫폼을 활용하여 기존 Antivody discovery방법보다 훨씬 빠른 기간 내에 자동화된 시스템 내에서 고해상도로 원하는 항체를 분비하는 혈장 B세포를 스크리닝할 수 있습니다. 

그림 5 Antibody discovery (출처:BEACON 시스템 버클리라이츠 공식 홈페이지[2])

2. Cell Line Development (CLD) 세포주 개발

항체개발을 위해서는 다량의 항체 생산을 목적으로 적합한 세포주의 개발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항체 생산용 Cell Line developmet (CLD) 세포주 개발이라고 합니다. 세포주 개발을 위해서는 세포주 최적화를 위한 적절한 세포 배양 및 평가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 Beacon 플렛폼은 높은 처리량 및 자동화된 세포 분석 장비로 고효율적인 세포의 다양한 선별, 스크리닝 기술을 활용하여 세포주 개발 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단기간에 유리한 특성을 가진 클론을 선택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하고 선별된 최상의 클론을 대량 생산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그림 6 CLD (출처:BEACON 시스템 버클리라이츠 공식 홈페이지[2])

 

Reference

[1] Cell Line Development 삼성바이오로직스 공식 홈페이지 [웹사이트]  (2023 03 31)

[2] BEACON 시스템 버클리라이츠 공식 홈페이지 [웹사이트] (2023년 4월 1일)

반응형